문제
세준이는 양수와 +, -, 그리고 괄호를 가지고 식을 만들었다. 그리고 나서 세준이는 괄호를 모두 지웠다.
그리고 나서 세준이는 괄호를 적절히 쳐서 이 식의 값을 최소로 만들려고 한다.
괄호를 적절히 쳐서 이 식의 값을 최소로 만드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식이 주어진다. 식은 ‘0’~‘9’, ‘+’, 그리고 ‘-’만으로 이루어져 있고, 가장 처음과 마지막 문자는 숫자이다. 그리고 연속해서 두 개 이상의 연산자가 나타나지 않고, 5자리보다 많이 연속되는 숫자는 없다. 수는 0으로 시작할 수 있다. 입력으로 주어지는 식의 길이는 50보다 작거나 같다.
출력
첫째 줄에 정답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 복사
55-50+40
예제 출력 1 복사
-35
예제 입력 2 복사
10+20+30+40
예제 출력 2 복사
100
예제 입력 3 복사
00009-00009
예제 출력 3 복사
0
[소스 코드]
괄호가 없는 식이 주어졌을 때 '-' 이후에 '+'가 나오면 '-' 뒤에 괄호를 쳤을 때
뒤에 값들의 합이 음수로 변하기 때문에 값이 작아지게 된다.
결국 '-'를 기준으로 해서 괄호를 치면 된다.
처음에 생각했던 방법은 식을 순회하면서 '-'가 나오면 체크하고 그 위치를 기억해서 괄호를 삽입하는 것이었다.
하지만 어떻게 구현하면 좋을지 머리가 아파서 여러 번 시도하다가 다른 방법들을 찾게 되었다.
기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키포인트 자체는 굉장히 간단하고 금방 생각하기 쉬웠지만,
코드로 구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꼈던 문제였다.
'-'를 기준으로 괄호를 쳐주면 되기 때문에 input을 받을 때 '-'를 기준으로 split 한다
그러면 숫자로만 구성되거나 숫자와 '+'로 구성된 문자열들이 생성된다.
후에 각 문자열들을 다시 '+'를 기준으로 하여 split 하여 숫자만 남게 하고,
숫자들을 더해서 결과 값들을 다른 리스트에 저장해준다.
예를 들어서
3 + 4 - 3 - 10 + 24
라는 식이 있을 때
1. '-' 기준으로 나누면
'3 + 4' '3' '10 + 24'
이렇게 3개로 나눠진다
그러면 나눠진 각 문자열의 연산 결과를 알기 위해서
2. '+'를 기준으로 나눠 연산을 진행
결과는
7 3 34
이렇게 나온다
그다음에 사이에 마이너스 연산을 진행하면 된다.
7 - 3 - 34 = -30
(3 + 4) - (3) - (10 + 24) = -30
이렇게 괄호를 쳐서 연산한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나오게 된다.
exp = input().split('-') #'-'를 기준으로 split해서 exp 리스트에 저장
num = [] #'-'로 나눈 항들의 합을 저장할 리스트
for i in exp:
sum = 0
tmp = i.split('+') #덧셈을 하기 위해서 '+'를 기준으로 split
for j in tmp: #split한 리스트의 각 요소들을 더해줌
sum += int(j)
num.append(sum) #각 항의 연산 결과(덧셈)를 num에 저장
n = num[0] #식의 제일 처음은 숫자로 시작하기 때문에 0번째 값에서 나머지 값들을 빼준다
for i in range(1,len(num)): #1번째 값부터 n에서 빼준다
n -= num[i]
print(n)
'알고리즘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/파이썬] 백준 16953 A → B (0) | 2022.03.19 |
---|---|
[python/파이썬] 백준 20365 블로그2 (0) | 2022.03.17 |
[python/파이썬] 백준 1931 회의실 배정 (0) | 2022.03.16 |
[python/파이썬] 백준 11047 동전 0 (0) | 2022.03.14 |
[python/파이썬] 백준 20300 서강근육맨 (2) | 2022.03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