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
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.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,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.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.
-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. -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,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.
-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.
-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.
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.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, 점은 레이저의 위치,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.

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.
-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‘( ) ’ 으로 표현된다. 또한, 모든 ‘( ) ’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.
-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‘ ( ’ 로,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‘) ’ 로 표현된다.
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.
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,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,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.
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,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.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,000이다.
출력
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 복사
()(((()())(())()))(())
예제 출력 1 복사
17
예제 입력 2 복사
(((()(()()))(())()))(()())
예제 출력 2 복사
24
[소스 코드]
후위 표기식과 유사한 문제이다.
스택을 이용해서 원하는 문자가 순서대로 나왔을 때 연산을 진행한다.
레이저는 연속된 한 쌍의 괄호로 표현되며, 막대기는 연속되지는 않지만 쌍이 맞는 괄호로 표현된다.
각 막대기는 절대 끝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막대기의 끝을 나타내는 괄호마다 하나의 조각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된다.
우선 '('가 나타나면 stack에 집어넣고 다음 문자를 받는다. '(' 다음에 곧바로 ')'가 나오게 되면 -> 첫 번째 else절 밑 if절
레이저를 의미하므로 지금까지 스택에 집어넣었던 문자수만큼 막대기 조각이 생성된다.
따라서 count값이 len(stack) 값만큼 증가한다.
')'다음에 ')'가 연속으로 나오게 되면 막대기의 오른쪽 끝이 나오게 된 것이므로 그 막대기는 더이상 나눠지지 않음을 알려준다. 따라서 count 값이 1 증가한다.
else절 내부에 있는 if절과 else절에서는 stack을 pop 해주는데 if절의 경우는 순서가 중요하다.
아무 생각 없이 pop()과 count값을 증가시키는 문장의 순서를 바꿔서 썼다가 틀렸었다.
str [i-1]가 '('이고 현재 str [i]가 ')'인 상황인데 이 두 괄호는 레이저를 나타낸다. 이 상황에서 '('는 stack내부에 있기 때문에 pop 해주지 않은 상태에서 count값을 증가시켜주면 하나의 막대기가 더 있는 것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.
str = list(input())
stack = []
count = 0
for i in range(len(str)):
if str[i] == '(':
stack.append('(')
else :
if str[i-1] =='(':
stack.pop()
count+=len(stack)
else:
count+=1
stack.pop()
print(count)
'알고리즘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/파이썬] 백준 1966 프린터 큐 (0) | 2022.02.09 |
---|---|
[python/파이썬] 백준 5618 공약수 (0) | 2022.02.09 |
[python/파이썬] 백준 1935 후위 표기식2 (0) | 2022.02.08 |
[python/파이썬] 백준 1874 스택 수열 (0) | 2022.02.08 |
[python/파이썬] 백준 10866 덱 (2) | 2022.02.05 |